트럼프 관세, K뷰티 산업 ‘비상 모드’ 돌입

2025. 4. 9. 18:53브랜드 커뮤니케이션

반응형

20%가 넘는 고율 관세를 부과

 

한국·프랑스 등 핵심 제조국에 20% 이상 고율 관세 부과 예산 재조정 불가피. 미국이 한국, 프랑스, 이탈리아 등 주요 뷰티 제조 국가에 대해 20%가 넘는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서, 글로벌 뷰티 브랜드들이 대대적인 예산 재조정에 나섰다. 그러나 이번 관세 여파에도 불구하고, 생산 거점을 이전하는 움직임은 예상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흔들리는 수익성, 바뀌지 않는 제조 선호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정책 복귀 움직임과 함께 시작된 이번 관세 조치는 특히 미국 내 수입 비중이 높은 K-뷰티(한국), 프렌치 뷰티(프랑스), 이탈리안 뷰티(이탈리아) 제품들에 직격탄을 날렸다. 이들 국가에서 수입되는 화장품은 품질 면에서 이미 소비자 신뢰를 확보한 상태로, 단순히 관세율 상승만으로 대체 가능한 공급처가 마땅치 않은 실정이다.

브랜드들은 일단 생산 라인을 옮기기보다는 가격 인상 최소화 전략과 마케팅 예산 조정, 원가 절감 등의 방식으로 버텨보려는 기조다. 특히 프리미엄 브랜드일수록 ‘제조국 정체성’이 중요한 브랜드 자산이기 때문에, 생산지를 바꾸는 결정은 신중할 수밖에 없다.

“프랑스에서 만든 향수가 아니면 브랜드의 가치가 떨어진다고 느끼는 고객이 많습니다. 관세 때문에 생산지를 바꾸면 브랜드 아이덴티티까지 위협받을 수 있죠.” — 미국계 프리미엄 뷰티 브랜드 관계자

재정비는 시작됐다

일부 브랜드는 미국 내 포장, 충진 공정을 강화하거나, 북미 인접 국가와의 파트너십 확대 등 ‘부분적 리쇼어링(reshoring)’을 고려 중이다. 하지만 포뮬라 개발, 원료 조달, 대체 불가한 제조 공정은 여전히 기존의 뷰티 허브 국가들에 의존하고 있다.

소비자 가격에 전가되는 관세의 파장은 올해 하반기부터 점차 가시화될 것으로 보이며, 소비자의 브랜드 충성도와 가격 민감도 간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브랜드 전략의 핵심이 될 전망이다.

정치 리스크, 업계는 장기전에 대비 중

무역 정책의 정치적 변수는 여전히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트럼프식 경제 보호주의가 다시 고개를 들면서, 글로벌 뷰티 업계는 단기 대응책을 넘어서 ‘지속 가능한 공급망 전략’ 수립을 본격화해야 할 시점에 도달했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세율 문제가 아니다. 글로벌 브랜드들은 이제 ‘무역 갈등 시대의 브랜드 전략’이라는 새로운 과제를 마주하고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