럭셔리시장(5)
-
마이클 코어스(Michael Kors) 중저가 전략 아마존 입점
물러나는 럭셔리의 자리… 한때 베르사체와 지미추를 품으며 LVMH와 케어링에 도전장을 내밀었던 카프리 홀딩스(Capri Holdings)가 럭셔리 이미지에서 한 발짝 물러나, 마이클 코어스(Michael Kors)를 중심으로 한 중저가 전략과 아마존 입점에 사활을 걸고 있다.최근 프라다(Prada)가 베르사체(Versace)를 14억 달러에 인수하면서, 카프리는 마이클 코어스와 지미추만 남긴 채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했다. 특히 카프리는 마이클 코어스 브랜드의 가격대를 다시 조정하고, 2024년 3월 아마존에 공식 입점하며 ‘럭셔리’라는 껍질을 벗고 접근성과 대중성에 초점을 맞춘다는 방침이다. “럭셔리 아닌 중저가 브랜드로의 전환”카프리 CEO 존 아이돌(John Idol)은 이번 베르사체 매각을 통해..
2025.04.12 -
케링(Kering) 구찌(Gucci)의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을까? 브랜드 리브랜딩, 아이덴티티 강화
케링(Kering) 구찌(Gucci) 그리고 디올(Dior)의 과제럭셔리 시장은 오랜 기간 동안 높은 수익성을 자랑하며 성장해왔지만, 최근 몇 년간 글로벌 경제의 변화와 소비자 트렌드의 변화로 인해 도전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특히, 프랑스 럭셔리 그룹 케링(Kering)과 주요 브랜드인 구찌(Gucci), 그리고 경쟁사인 LVMH의 디올(Dior)은 성장 둔화와 매출 하락을 겪으며 위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구찌(Gucci)의 위기와 케링(Kering)의 대응케링은 지난 몇 년간 구찌를 필두로 한 성장 전략을 펼쳐왔지만, 2023년을 ‘Annus Horribilis’(끔찍한 해)라고 표현할 정도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특히, 2023년 4분기 구찌의 매출이 24% 급락하면서 케링 그룹 전체의 실적..
2025.02.12 -
인도 럭셔리 시장이 어려운 이유, 성공하는 전략 “인도화(Indianization)”가 핵심
글로벌 시장의 변화와 인도의 럭셔리 산업 성장 전망세계 경제에서 인도는 중국을 대체할 수 있을까? 이 질문은 오랫동안 패션 및 럭셔리 산업에서 논의되어 왔습니다. 인도는 빠르게 성장하는 경제와 세계 최대 인구를 보유하고 있지만, 그 특성과 시장 구조가 중국과는 전혀 다르다는 점에서 단순 비교는 어렵습니다. 아시아의 경제 성장과 글로벌 시장에서의 역할아시아는 현재 세계 최대 소비 시장이자 생산 기지로 자리 잡았습니다. 의류, 액세서리, 시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 시장 점유율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지만, 브랜드 가치 면에서는 여전히 유럽과 미국이 주도하고 있습니다. “가치는 브랜드에 있으며, 그 브랜드는 여전히 유럽과 미국에 있다”라는 Ravi Thakran의 지적은 아시아 기업들에게 중요한 시사점..
2025.02.08 -
사바토 데 사르노(Sabato De Sarno) 구찌에서 떠난다.
구찌떠나는 사바토 데 사르노이탈리아 럭셔리 하우스 구찌(Gucci)가 또 한 번의 크리에이티브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사바토 데 사르노(Sabato De Sarno)가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서 재직한 지 불과 2년 만에 브랜드를 떠나게 되었으며, 2025년 2월 25일 열리는 구찌 컬렉션은 내부 디자인 스튜디오가 제작할 예정입니다. 이번 변화는 단순한 디자이너 교체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구찌는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방향성을 놓고 고민하고 있으며, 럭셔리 시장의 침체 속에서 다시금 존재감을 확립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사바토 데 사르노의 전략사바토 데 사르노(Sabato De Sarno)는 2023년 구찌에 합류하며 브랜드의 본질적인 럭셔리 요소를 강조하는 임무를 맡았습니다. 그의 전임자였던..
2025.02.07 -
2025년 럭셔리의 핵심은 절제, 실용성, 그리고 지속 가능성 “작은 디테일에서 느껴지는 고급스러움”
일상 속에서 느낄 수 있는 고급스러움2025년 럭셔리 시장은 로고 중심의 과시적 소비에서 벗어나, 절제와 실용성에 중점을 둔 새로운 흐름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특히, Lemaire와 같은 브랜드가 보여주는 안드로지너스(성 중립적) 스타일과 유틸리티 패션은 현대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실용성과 지속 가능성의 가치를 잘 반영하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로고의 퇴조와 미니멀리즘의 부상소비자들은 이제 과도한 로고와 브랜드를 과시하는 스타일에서 벗어나, 품질과 디자인으로 차별화된 브랜드를 선호하고 있습니다. 이는 Lemaire와 같은 브랜드가 2019년 이후 10배 이상의 성장세를 기록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절제된 럭셔리 “작은 디테일에서 느껴지는 고급스러움”이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갑니다. 일상과의 연결 L..
2025.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