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배울 수 있는 세 가지 태도
김작가TV에 출연한 개그맨 황현희 씨는 “현금이 있다면 테슬라와 QQQ만 사겠다"라고 말했습니다. 그 영상을 본 이후, 저 역시 토스 증권의 주식 모으기 기능을 통해 테슬라와 QQQ를 주식을 줍줍하고있습니다. 그러던 중 요즘 저의 닮고 싶은 사람 1위로 손꼽는 미키김님의 유튜브에서 2025년에도 어김없이 세계 1위 부자 자리를 지키고 있는 일론 머스크에게서 배울 점 세 가지를 짚어주는 영상을 올렸습니다. 이걸 보며 저는 머스크의 삶과 전략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되었고, 그 정리의 시간을 이렇게 글로 남기게 되었습니다.
『물질의 세계』를 읽고 나서야 이해할 수 있었던 것들
올해 제가 가장 인상 깊게 읽은 책 중 하나는 바로 『물질의 세계』였습니다. 인간이 어떻게 물질을 다루고, 이를 통해 어떤 문명을 쌓아 올렸는지를 탐구하는 이 책을 통해 저는 과학과 산업, 기술 진보의 근원을 새롭게 바라보게 되었어요. 그리고 그 이해는, 자연스럽게 세계 1위 부자 ‘일론 머스크’의 행보로 이어졌습니다. 테슬라의 CEO로만 알고 있던 그의 삶과 선택들을, 이제는 좀 더 넓은 시야로 바라볼 수 있게 되었거든요.
머스크의 자산 구조, 우리가 아는 것과는 다르다?
2025년에도 여전히 세계 최고 부자 자리를 지키고 있는 일론 머스크. 당연히 그의 자산 대부분은 테슬라에서 나왔겠거니 생각하기 쉬운데요, 실상은 다릅니다. 물론 테슬라는 그의 자산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종목이긴 합니다. 하지만 스페이스 X는 이제 테슬라를 뛰어넘는 가치 평가를 받고 있고, 머스크는 이 회사의 지분 40% 가까이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뉴럴링크, 보링컴퍼니, X.AI 등 미래 기술을 겨냥한 포트폴리오로 자산 다각화를 이어가고 있죠. 그는 단순히 ‘상장사 주식’만을 보유한 자산가가 아니라, 자신이 깊이 관여한 회사들을 키우고 지분을 확보하며 자산을 구축해 온 창조적 전략가였습니다.
우리가 배울 수 있는 세 가지 전략
① 문제 중심 사고 (Problem-First Thinking)
머스크는 늘 문제부터 봅니다. “무엇을 팔아 돈을 벌까?”보다 “무엇이 잘못되어 있는가?”, “세상에서 지금 가장 시급한 문제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그의 모든 사업의 출발점입니다.
- 자동차 산업이 정체되어 있다 → 전기차로 패러다임 전환 (테슬라)
- 우주 탐사가 너무 비싸다 → 재사용 로켓으로 비용 절감 (스페이스X)
- AI의 통제가 필요하다 → OpenAI와 X.AI로 윤리적 접근 시도
- 인간의 인지 한계를 넘어서려면 →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자 (뉴럴링크)
이런 사고방식은 우리 삶과 투자에서도 유효합니다. “무엇에 투자하면 오를까?”보다 “지금 이 사회에 어떤 문제가 있고, 그걸 누가 해결하고 있나?”를 보는 시각이 오히려 훨씬 더 깊은 인사이트를 줍니다.
② 과감한 실행력
머스크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입니다. 스페이스X 초기, 로켓이 3번이나 실패했을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프로젝트 중단을 이야기했지만, 그는 마지막 자금을 쏟아부어 4번째 발사를 성공시켰습니다. 그 이후, 스페이스X는 전 세계 로켓 산업의 룰을 바꾸는 존재가 되었죠. 트위터 인수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모두가 그 선택을 비판했지만 그는 스스로 경영 구조를 뜯어고치고, X라는 새로운 플랫폼으로 개편하며 실행 중심의 리더십을 보여줬습니다. 우리도 너무 오래 고민만 하고 실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잖아요. 때로는 실패하더라도 실행해 보고, 그 과정에서 배우는 태도가 훨씬 큰 성장을 만들어냅니다.
③ 현명한 투자 방식
머스크는 본인이 ‘이해하고 통제할 수 있는’ 분야에 집중합니다. 무작위로 다양한 종목에 투자하지 않고, 자기가 직접 창업하거나 핵심 경영에 참여한 기업의 지분을 탄탄하게 확보합니다. 그 기업의 성장과 자신의 자산이 함께 움직이는 구조를 스스로 설계해온 것이죠. 이건 우리에게 중요한 교훈을 줍니다. 남들이 좋다고 하는 것보다, “내가 진짜로 이해하는 분야”, “내가 믿는 가치”에 집중하는 투자야말로 길게 갈 수 있는 투자라는 것.
돈보다 중요한 건 방식이다
부자가 되는 건 단지 ‘돈을 버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체득하는 과정일지도 모릅니다. 일론 머스크는 자신이 만든 회사와 제품을 통해 문제를 해결했고, 그 결과로 엄청난 자산을 쌓았습니다. 우리가 그의 자산 규모를 따라가진 못하겠지만, 그가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선택하고, 어떻게 행동했는가를 삶과 투자에 적용할 수는 있습니다.
문제 중심으로 생각하고, 과감하게 실행하고, 내가 이해하는 분야에 집중하는 것. 이 세 가지 태도만 잘 지켜도, 어느 날 우리의 자산도 단단하게 자라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그리고 언젠가, 누군가가 우리를 보고 “그 사람은 단지 돈을 번 게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며 세상을 바꾼 사람이야”라고 말하게 될 수도 있겠죠.
'in Swip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랑스 감성 소품샵 Le Petit Souk(르 쁘띠 수크) 파리 17구 아이 선물 살 곳 (0) | 2025.04.24 |
---|---|
프랑스 파리 독립서점 레 리브레리 퐁텐? 폰테인? (Les Librairies Fontaine) at. Librairie Fontaine Villiers(파리 17구) (0) | 2025.04.24 |
GenAI 기반 웹 서비스 개발/데이터 분석 전문가 양성과정 (0) | 2025.04.23 |
가정용 태양광 설치 비용 "전기요금 연 70만 원 절감" (0) | 2025.04.23 |
자녀 경제 교육(돈의 개념) 어떻게 시작할까? (0)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