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티시장(8)
-
뷰티 업계의 넷플릭스가 되고 싶은 매사(MAESA)의 브랜드 스케일 전략
‘퍼퓸 토크’ 시대의 승자, 매사(MAESA)의 전략대중의 니즈에 응답하는 뷰티 브랜드의 미래 요즘 우리는 하나의 향수가 아닌, 여러 개의 향수를 기분에 따라 레이어링하고, 향기를 통해 나를 표현하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특히 Z세대와 밀레니얼 사이에서 퍼퓸은 단순한 향이 아니라 ‘기분 전환’과 ‘자아 표현’의 수단이 되었죠. 그리고 이 흐름을 정확하게 읽고 빠르게 반응한 기업이 있습니다. 바로 글로벌 뷰티 브랜드 인큐베이터 매사(Maesa)입니다. 프리미엄의 대중화, 매사의 핵심 전략1997년에 설립된 매사(Maesa)는 처음에는 유통 업체들의 PB 상품을 제조하는 회사였지만, 최근 몇 년간 급격한 성장을 이루며 자체 브랜드를 만들고 키우는 전략으로 전환했습니다. 대표 브랜드로는 셀럽 애슐리 티스데..
2025.05.07 -
세계 최대 자외선 차단제 시장, 미국에서 벌어지는 외국산 선스크림 전쟁
세계 최대 자외선 차단제 시장, 미국에서 벌어지는 외국산 선스크림 전쟁호주의 ’네이키드 선데이즈(Naked Sundays)’나 한국의 ’조선미녀(Beauty of Joseon)’처럼 미국 시장 공략에 나선 선케어 브랜드들이, 미국 FDA의 (퇴보적인) 규제 속에서도 성공을 거두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호주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네이키드 선데이즈는 울타 뷰티(Ulta Beauty)를 통해 미국 시장에 진출했다. 주요 포인트미국은 세계 최대의 선스크림 시장이지만, 가장 혁신이 더딘 시장이기도 하다. FDA 규제 때문에 다른 나라에서 이루어진 자외선 차단제 혁신들이 대부분 미국에선 허용되지 않는다.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선스크림 브랜드들은 한국(조선미녀)이나 호주(네이키드 선데이즈) 출신이 많지만, ..
2025.04.29 -
트럼프 관세, K뷰티 산업 ‘비상 모드’ 돌입
20%가 넘는 고율 관세를 부과 한국·프랑스 등 핵심 제조국에 20% 이상 고율 관세 부과 예산 재조정 불가피. 미국이 한국, 프랑스, 이탈리아 등 주요 뷰티 제조 국가에 대해 20%가 넘는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서, 글로벌 뷰티 브랜드들이 대대적인 예산 재조정에 나섰다. 그러나 이번 관세 여파에도 불구하고, 생산 거점을 이전하는 움직임은 예상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흔들리는 수익성, 바뀌지 않는 제조 선호트럼프 전 대통령의 정책 복귀 움직임과 함께 시작된 이번 관세 조치는 특히 미국 내 수입 비중이 높은 K-뷰티(한국), 프렌치 뷰티(프랑스), 이탈리안 뷰티(이탈리아) 제품들에 직격탄을 날렸다. 이들 국가에서 수입되는 화장품은 품질 면에서 이미 소비자 신뢰를 확보한 상태로, 단순히 관세율 상승만..
2025.04.09 -
프랑스 약국 화장품 미국 시장을 장악할 수 있을까?
프랑스 약국 화장품 미국에서 살아남으려면?French Girl Beauty 프랑스 약국 화장품의 인기는 단순한 트렌드가 아니라, 효과적인 스킨케어에 대한 신뢰에서 비롯된 것이다. 하지만, 변화하는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젊은 소비자들과 디지털 세대에 맞춘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 프렌치 파머시 뷰티가 전통과 혁신의 균형을 유지하며, 미국 뷰티 시장의 중심에서 계속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프렌치 걸 뷰티(French Girl Beauty)’는 전 세계적으로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는 미적 개념이다. 특히 프랑스 약국(French Pharmacy)에서 탄생한 스킨케어 브랜드들은 미국에서 열광적인 반응을 얻으며 뷰티 트렌드를 주도해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미국 시장에서 ‘프랑스 파머..
2025.03.14 -
니베아 스킨케어 성장둔화 전망, 회복하는 로스앤젤레스 뷰티이벤트
틱톡이 만든 뷰티트렌드, 살아남을 브랜드는?틱톡을 중심으로 뷰티 브랜드의 성장이 확산되면서, 기존의 고급 스킨케어 시장 수요가 점차 감소하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미국 셀럽들이 론칭한 뷰티 브랜드와 K-뷰티를 중심으로 한 합리적인 가격대의 브랜드들이 시장을 주도하며 뷰티 업계의 판도를 바꾸고 있다. 이제는 과도기에 접어든 뷰티 시장에서 어떤 브랜드가 살아남고, 어떤 브랜드가 사라질지 불확실한 상황이다. 변화하는 트렌드 속에서 브랜드들은 더욱 정교한 마케팅 전략을 세워야 지속 가능한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니베아 제조사 바이어스도르프, 스킨케어 성장 둔화 전망독일의 대표적인 화장품 기업 바이어스도르프(Beiersdorf)가 향후 스킨케어 시장의 성장 둔화를 예상하며 연간 성장 전망치를 하향 조..
2025.02.28 -
인도의 남성 스킨케어, 새로운 시대를 열다 indē wild 인도뷰티브랜드
마초마케팅에서 벗어나 포용적마케팅으로인도 뷰티 산업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기존의 전통적인 남성성 강조에서 벗어나, 포용적인 마케팅과 과학적으로 검증된 제품, 인플루언서 중심의 스토리텔링이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이에 따라 남성들의 스킨케어와 뷰티 루틴이 자연스럽게 확산되며, 인도의 남성 그루밍 시장은 2025년까지 21억 달러(약 2.8조 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인도 남성 스킨케어의 변화과거에는 남성 그루밍이 면도용품과 애프터쉐이브 제품에 국한되었지만, 이제는 세안제, 보습제, 자외선 차단제, 심지어 메이크업 제품까지 그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특히 소셜미디어와 문화적 변화가 이러한 흐름을 이끌고 있다. 인도의 인기 인플루언서인 안쿠쉬 바후구나(Ankush Bahuguna), 디..
2025.02.18 -
뷰티 브랜드, 세포라(Sephora)에 입점하고 살아남는 법
단순한 유행이 아닌, 지속 가능한 브랜드 가치뷰티 산업에서 세포라(Sephora), 울타 뷰티(Ulta Beauty), 타겟(Target) 같은 대형 리테일러에 입점하는 것은 단순한 유통 전략을 넘어 브랜드의 성장을 가속화하는 결정적인 순간이 됩니다. 하지만 입점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진정한 승부는 그 이후부터 시작됩니다. 경쟁이 치열해지는 뷰티 시장에서 브랜드가 입점 후에도 살아남고 지속적으로 성장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세포라에 입점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과거 DTC(Direct-to-Consumer, 직영 유통) 브랜드들은 온라인을 통해 직접 소비자와 소통하며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많은 브랜드들이 단순한 DTC 모델만으로는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기 어렵다..
2025.02.11 -
2025년 뷰티 트렌드 전망: 가치 소비와 성능 중심의 변화, 스킨케어 브랜드는 가치를 증명해야 할 것입니다.
가치 소비의 부상2025년 뷰티 시장은 소비자들의 가치 소비 트렌드와 성능 중심의 선택으로 더욱 변화할 전망입니다. 특히, 스킨케어 시장에서 이러한 변화는 브랜드의 마케팅 전략과 제품 개발 방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성능이 곧 가격을 정당화한다2025년, 소비자들은 단순히 비싼 가격의 제품을 구매하기보다는, 가격에 걸맞은 성능과 가치를 제공하는 제품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스킨케어는 전체 뷰티 매출의 약 50%를 차지하는 핵심 카테고리로, 높은 마진과 마케팅 중심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이제 브랜드의 이미지보다 제품의 실질적인 성능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할인과 ‘듀페’(유사 제품) 문화를 통해 소비자들은 더 저렴한 가격에 유사한 성능을 제공하는..
2025.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