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록(5)
-
에디터의 기록법: 읽고 싶은 콘텐츠를 만드는 에디터 10인의 노트
2025년 10번째 읽기록Words by Jeong-Yoon Lee 이 책을 읽게 된 계기가 기존과는 달랐다. 내가 읽는 책의 보통은 팔로우하고 있는 분들의 콘텐츠를 통해 읽게 되는 경우가 99%다. 하지만 이번에는 서초구립양재도서관 홈페이지 신착에서 제목만 보고 예약을 걸어둔 책 중에 하나다. 무엇보다 나를 끌어당긴 문구는 "읽고 싶은 콘텐츠"였다. 나 또한 여러 곳에 글을 쓰고 있는 사람이다. 물론 직업은 아니다. 직업이라 하면 생계를 책임질 정도의 수익이 있어야 하지만 나는 한 달에 10만 원도 안 되는 수익이기 때문이다. 현재로서는 부업(?)이 맞겠다. 나는 15년 정도를 그래픽 디자이너로 일을 했다. 그러다가 2007년부터 해온 블로그 활동이 재밌고 누가 시키지 않아도 꿋꿋하게 지금까지 하고 ..
2025.04.19 -
ATOMIC HABITS '아주 작은 습관의 힘' 제임스 클리어(James Clear)
2025년 5번째 읽기록Words by Jeong-Yoon Lee 틱톡에서 영업당해서 두 번째로 읽게 된 책인데 이미 워낙에 유명한 책이더라고요. 2018년 아마존 최고의 화제작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는 제임스 클리어의 '아토믹 해빗(ATOMIC HABITS)' 아주 작은 습관의 힘이라는 책이에요. 이미 읽어본 분들도 많겠죠? 저는 20대 후반부터는 쳐다도 안 봤던 카테고리의 책이라 자기 계발 서적을 연달아 읽으니 엉덩이를 뜰썩이게 하는 실천력이 올라오게 만듭니다. 인간 욕망의 법칙과 아주 작은 습관의 힘을 읽으면서 드는 생각은 자기 확신을 갖고 정체성을 가지기 전까지 자기 자신과의 끊임없는 대화로 나부터 제대로 기준을 잡는다는 것이었어요. 그래서 세상으로 나왔을 때 당당하게 자기주장을 펼치고 자기표현..
2025.03.06 -
로버트 그린 인간 욕망의 48 법칙(권력의 법칙) The 48 Laws of Power
2025년 4번째 읽기록Words by Jeong-Yoon Lee 틱톡에서 책 소개 콘텐츠에 현혹되어 읽게 된 로버트 그린의 법칙> 영어 원서 제목은 이며, 국내에는 2009년 이라는 제목으로 처음 출간되었다. 이후 2021년에 두 번째로 발행된 을 도서관에서 찾아 읽게 되었다. 오랜만에 자기 계발서를 펼쳤다. 20대에는 이 분야의 책을 많이 읽었지만, 30대 이후에는 브랜딩과 마케팅과 같은 직업 관련 서적을 주로 찾아 읽었기 때문이다. 오래간만에 접하는 자기 계발서는 신선한 충격과 재미였다. The 48 Laws of Powerinto forty-eight well-explicated laws. As attention-grabbing in its design as it is in its conten..
2025.03.03 -
[책추천]인간의 조화로움에 대하여 고민해보는 "집단착각" 토드로즈 저자
인지부조화가 오지 않도록Words by antyoon 집단착각을 읽는데 책의 내용대로 따라가면서 읽다 보면 자연스럽게 요즘에 일어나고 있는 사회적인 현상들이 하나둘씩 겹쳐지더라고요. 엄청난 정보의 세상에 살다 보니 정말 많은 양의 정보를 우리의 머릿속에 간직한 채 살고 있잖아요. 책을 읽으면서 하나둘 키워드가 떠오를 때마다 그 키워드에 맞게 가벼운 사건부터 무거운 사회적인 사건들까지 떠오르기 시작하더라고요. 그리고 저는 언제나 성악설이라고 이야기하고 다녔는데 집단착각을 읽으면 읽을수록 성선설을 믿게 되더라고요. 사람은 본래 타고나길 선하게 태어나긴 했나 보다! 이 생각은 또 범죄물 보면 금방 사라지긴 합니다만 그래도 처음 성선설을 믿게 되는 책이긴 했습니다. 세상이 급변하고 있기 때문에 최근에 나온 책들..
2024.06.11 -
[문장수집]집단 착각 : 인간 본능이 빚어낸 집단사고의 오류와 광기에 대하여 토드 로즈(Todd Rose) 21세기북스(Book21 Publishing Group)
집단 착각인간 본능이 빚어낸 집단사고의 오류와 광기에 대하여 출판사 : 21세기북스(Book21 Publishing Group)저자 : 토드 로즈(Todd Rose)교육신경과학 분야의 선도적인 사상가로서, 하버드교육대학원에서 지성·두뇌·교육 Mind, Brain, and Education 프로그램과 개개인학 연구소를 맡아 이끌고 있다. 위스 생체모방공학 연구소에서 부교수로도 활동 중이다. 중학교 때 ADHD 장애 판정을 받은 뒤 성적 미달로 고등학교를 중퇴했으나 그 이후 대학입학자격검정시험 GED을통과해 지역대학에 입학했다. 야간 수업을 들으며 주경야독한 끝에 하버드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인간발달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하버드-스미소니언 천체물리학 연구소에서 박사 후 연수과정을 마쳤다. 비영리단체인 개개인..
2024.06.11